자유민주당 총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민주당 총재는 일본 자유민주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당 소속 국회의원, 당원, 자유국민회의 및 국민정치협회 회원들의 투표로 선출된다. 총재는 당을 대표하고 당무를 총괄하며, 3년의 임기를 가진다. 1974년 이후 연속 3선이 가능하며, 당의 주요 당직자를 임명하고 임원회를 소집하는 등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역대 총재는 하토야마 이치로,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다나카 가쿠에이, 미키 다케오,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 스즈키 젠코, 나카소네 야스히로, 다케시타 노보루, 우노 소스케, 가이후 도시키, 미야자와 기이치, 고노 요헤이, 하시모토 류타로, 오부치 게이조, 모리 요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아소 다로, 다니가키 사다카즈, 스가 요시히데, 기시다 후미오, 이시바 시게루 등이 있다. 총재는 일반적으로 내각총리대신을 겸임하지만, 총리·총재 분리론이 논의된 적도 있으며, 총리직을 겸임하지 않은 총재는 고노 요헤이와 다니가키 사다카즈 두 사람뿐이다. 총재 취임 자격은 국회의원 자격이며, 다나카 가쿠에이는 당 삼역 중 간사장 포함 두 역, 외무대신, 재무대신, 통산상 중 2각료 경험을 총재의 조건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민주당 총재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자유민주당 총재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시나 재정
시이나 재정은 1974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출 과정에서 시이나 에쓰사부로 부총재가 미키 다케오를 총재로 추천하여 당내 갈등을 중재하고 미키 다케오를 총리로 선출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정치적 결정이다. -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 5인조 (자유민주당)
5인조는 2000년 오부치 게이조 총리 뇌경색 입원 후 자민당 주요 인사 5명이 모리 요시로를 후임 총리로 추대하고 아오키 간오를 총리 대리로 결정한 사건을 지칭하며, 밀실 협의라는 비판과 함께 일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유민주당 (일본) - 55년 체제
19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대 정당 체제로, 장기 집권의 폐해와 정치 개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자유민주당 (일본)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자유민주당 총재 | |
---|---|
기본 정보 | |
직책 | 자유민주당 총재 |
로마자 표기 | Jiyū-Minshutō Sōsai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현직 | 이시바 시게루 |
현직 취임일 | 2024년 9월 27일 |
첫 취임 | 이치로 하토야마 |
창설일 | 1955년 11월 15일 |
직무 | |
역할 | 자유민주당의 당수 |
임명 방식 | 총재 선거 |
임기 | 3년 (연속 3기 한정) |
임기 제한 | 연속 4선 금지 |
직무 대행 | 부총재, 간사장 |
추가 정보 | |
정당 웹사이트 | 자유민주당 |
이전 총재 | 기시다 후미오 |
초대 총재 | 하토야마 이치로 |
28대 총재 | 이시바 시게루 |
창설 당시 | 1956년 4월 5일까지 총재 대행 위원이 총재직을 대행 |
일본어 표기 | |
일본어 | 自由民主党総裁 |
일본어 (후리가나) | じゆうみんしゅとうそうさい |
일본어 (로마자) | Jiyū-Minshutō Sōsai |
2. 선출
자유민주당 총재는 당 소속 국회의원과 당원, 자유국민회의[41] 및 국민정치협회[42] 회원들의 투표로 선출된다. 총재 후보는 국회의 자유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어야 하며, 다른 자유민주당 국회의원 20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5]
일반적으로 총재 선거는 1차 투표와 결선 투표 방식으로 진행된다.[6] 1차 투표에서는 국회의 자유민주당 의원 전원이 1표씩 행사하고, 당원 투표는 전체 투표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표수로 비례 배분된다.[6]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면 해당 후보가 총재로 당선되지만,[6]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에는 상위 2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가 즉시 실시된다.[6] 결선 투표에서는 국회의원들이 다시 투표하고, 자유민주당의 47개 도(都) 지부가 각각 1표씩 행사한다.[6] 각 지부의 투표 결과는 해당 도의 당원 1차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되며,[6] 결선 투표에서 최다 득표자가 총재로 당선된다.[6]
총재가 임기 중 궐위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는 당대회 대신 양원(중의원, 참의원) 의원 총회에서 국회의원과 도도부현 대표자들의 투표로 총재를 선출할 수 있다. 또한, 당의 주요 인사들이 협의하여 총재 후보자를 단일화하고 양원 의원 총회의 승인을 받아 총재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다.
날짜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4] | ||
---|---|---|---|---|---|---|---|---|---|---|---|---|
1956년 4월 5일 | 하토야마 이치로 (Ichirō Hatoyama)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하야시 조지 (Jōji Hayashi) | 이시바시 단잔 (Tanzan Ishibashi)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마스다니 슈지 (Shūji Masutani) 오노 반보쿠 (Banboku Ōno) | 고노 이치로 (Ichirō Kōno) 시게미쓰 마모루 (Mamoru Shigemitsu) 마쓰노 츠루헤이 (Tsuruhei Matsuno) 이케다 하야토 (Hayato Ikeda) | colspan="4" rowspan="2" | | 5 | |||||
394 | 4 | 3 | 2 | 1 | ||||||||
1956년 12월 14일 | 1차 투표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이시바시 단잔 (Tanzan Ishibashi) |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 colspan="6" rowspan="2" | | 0 | ||||||
223 | 151 | 137 | ||||||||||
결선 투표 | 이시바시 단잔 (Tanzan Ishibashi)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colspan="7" rowspan="2" | | 0 | ||||||||
258 | 251 | |||||||||||
1957년 3월 21일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마쓰무라 켄조 (Kenzō Matsumura) |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키타무라 도쿠타로 (Tokutarō Kitamura) | colspan="6" rowspan="2" | | 0 | |||||||
471 | 2 | 1 | ||||||||||
1959년 1월 14일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마쓰무라 켄조 (Kenzō Matsumura) | 오노 반보쿠 (Banboku Ōno) 요시다 시게루 (Shigeru Yoshida)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마스다니 슈지 (Shūji Masutani)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colspan="6" rowspan="2" | | 0 | |||||||
320 | 166 | 1 | ||||||||||
1960년 7월 14일 | 1차 투표 | 이케다 하야토 (Hayato Ikeda) |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 마쓰무라 켄조 (Kenzō Matsumura) | 오노 반보쿠 (Banboku Ōno) | colspan="4" rowspan="2" | | 0 | ||||
246 | 196 | 49 | 5 | 1 | ||||||||
결선 투표 | 이케다 하야토 (Hayato Ikeda) | 이시이 미쓰지로 (Mitsujirō Ishii) | colspan="7" rowspan="2" | | 0 | ||||||||
302 | 194 | |||||||||||
1962년 7월 14일 | 이케다 하야토 (Hayato Ikeda)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이치마다 히사토 (Hisato Ichimada)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 요시다 시게루 (Shigeru Yoshida) 후쿠다 다케오 (Takeo Fukuda) | 다카하시 히토시 (Hitoshi Takahashi) 쇼리키 마쓰타로 (Matsutarō Shōriki) | colspan="2" rowspan="2" | | 0 | |||
391 | 17 | 6 | 5 | 3 | 2 | 1 | ||||||
1964년 7월 10일 | 이케다 하야토 (Hayato Ikeda)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 나다오 히로키치 (Hirokichi Nadao) | colspan="5" rowspan="2" | | 0 | ||||||
242 | 160 | 72 | 1 | |||||||||
1964년 12월 1일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단일 후보 (이케다 하야토 추대) | ||||||||||
1966년 12월 1일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 마에오 시게사부로 (Shigesaburō Maeo) | 나다오 히로키치 (Hirokichi Nadao) | 노다 우이치 (Uichi Noda) | 고사카 젠타로 (Zentarō Kosaka) | 기시 노부스케 (Nobusuke Kishi) 마쓰무라 켄조 (Kenzō Matsumura) 무라카미 이사무 (Isamu Murakami) | colspan="2" rowspan="2" | | 0 | |||
289 | 89 | 47 | 11 | 9 | 2 | 1 | ||||||
1968년 11월 27일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미키 다케오 (Takeo Miki) | 마에오 시게사부로 (Shigesaburō Maeo) |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 colspan="5" rowspan="2" | | 0 | ||||||
249 | 107 | 95 | 1 | |||||||||
1970년 10월 29일 | 사토 에이사쿠 (Eisaku Satō) | 미키 다케오 (Takeo Miki) | 치바 사부로 (Saburō Chiba)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Aiichirō Fujiyama) 우쓰노미야 도쿠마 (Tokuma Utsunomiya) | colspan="6" rowspan="2" | | 0 | |||||||
353 | 111 | 1 | ||||||||||
1972년 7월 5일 | 1차 투표 | 다나카 가쿠에이 (Kakuei Tanaka) | 후쿠다 다케오 (Takeo Fukuda) | 오히라 마사요시 (Masayoshi Ōhira) | 미키 다케오 (Takeo Miki) | colspan="5" rowspan="2" | | 7 | |||||
156 | 150 | 101 | 69 | |||||||||
결선 투표 | 다나카 가쿠에이 (Kakuei Tanaka) | 후쿠다 다케오 (Takeo Fukuda) | colspan="7" rowspan="2" | | 0 | ||||||||
282 | 190 | |||||||||||
1974년 12월 4일 | 미키 다케오 (Takeo Miki) | 단일 후보 (시이나 에쓰사부로 부총재 추대) | ||||||||||
1976년 12월 23일 | 후쿠다 다케오 (Takeo Fukuda) | 단일 후보 (자민당 양원 국회의원 총회 논의를 통해 선출) | ||||||||||
1978년 11월 26일 | 예비 선거[15] | 오히라 마사요시 (Masayoshi Ōhira) | 후쿠다 다케오 (Takeo Fukuda) | 나카소네 야스히로 (Yasuhiro Nakasone) | 고모토 도시오 (Toshio Kōmoto) | colspan="5" rowspan="2" | | 0 | |||||
748점 | 638점 | 93점 | 46점 | |||||||||
결선 투표 | 오히라 마사요시 (Masayoshi Ōhira) | 2위 후보 사퇴 | ||||||||||
1980년 7월 15일 | 스즈키 젠코 (Zenkō Suzuki) | 단일 후보 (니시무라 에이이치 부총재 추대) | ||||||||||
1980년 11월 27일 | 스즈키 젠코 (Zenkō Suzuki) | 단일 후보 (스즈키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1982년 11월 24일 | 예비 선거[16] | 나카소네 야스히로 (Yasuhiro Nakasone) | 고모토 도시오 (Toshio Kōmoto) | 아베 신타로 (Shintaro Abe) | 나카가와 이치로 (Ichiro Nakagawa) | colspan="5" rowspan="2" | | 0 | |||||
559673 | 265078 | 80443 | 66041 | |||||||||
결선 투표 | 나카소네 야스히로 (Yasuhiro Nakasone) | 2위 이하 후보 사퇴 | ||||||||||
1984년 10월 30일 | 나카소네 야스히로 (Yasuhiro Nakasone) | 단일 후보 (나카소네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1986년 9월 11일 | 나카소네 야스히로 (Yasuhiro Nakasone) | 임기 1년 연장 (자민당 양원 국회의원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나카소네 재선) | ||||||||||
1987년 10월 31일 | 다케시타 노보루 (Noboru Takeshita) | 단일 후보 (나카소네 야스히로 추대) | ||||||||||
1989년 6월 2일 | 우노 소스케 (Sōsuke Uno) | 단일 후보 (다케시타 노보루 추대) | ||||||||||
1989년 8월 8일 | 카이후 도시키 (Toshiki Kaifu) | 하야시 요시로 (Yoshiro Hayashi) | 이시하라 신타로 (Shintaro Ishihara) | colspan="6" rowspan="2" | | 0 | |||||||
279 | 120 | 48 | ||||||||||
1989년 10월 31일 | 카이후 도시키 (Toshiki Kaifu) | 단일 후보 (카이후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1991년 10월 27일 | 미야자와 기이치 (Kiichi Miyazawa) | 와타나베 미치오 (Michio Watanabe) | 미쓰즈카 히로시 (Hiroshi Mitsuzuka) | colspan="6" rowspan="2" | | 0 | |||||||
285 | 120 | 87 | ||||||||||
1993년 7월 30일 | 고노 요헤이 (Yōhei Kōno) | 와타나베 미치오 (Michio Watanabe) | colspan="7" rowspan="2" | | 0 | ||||||||
208 | 159 | |||||||||||
1993년 9월 30일 | 고노 요헤이 (Yōhei Kōno) | 단일 후보 (고노 요헤이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1995년 9월 22일 | 하시모토 류타로 (Ryutaro Hashimoto) | 고이즈미 준이치로 (Junichiro Koizumi) | colspan="7" rowspan="2" | | 0 | ||||||||
304 | 87 | |||||||||||
1997년 9월 11일 | 하시모토 류타로 (Ryutaro Hashimoto) | 단일 후보 (하시모토 류타로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1998년 7월 24일 | 오부치 게이조 (Keizō Obuchi) | 카지야마 세이로쿠 (Seiroku Kajiyama) | 고이즈미 준이치로 (Junichiro Koizumi) | colspan="6" rowspan="2" | | 0 | |||||||
225 | 102 | 84 | ||||||||||
1999년 9월 21일 | 오부치 게이조 (Keizō Obuchi) | 가토 고이치 (Koichi Kato) | 야마사키 다쿠 (Taku Yamasaki) | colspan="6" rowspan="2" | | 0 | |||||||
350 | 113 | 51 | ||||||||||
2000년 4월 5일 | 모리 요시로 (Yoshirō Mori) | 단일 후보 (자민당 양원 국회의원 총회 논의를 통해 선출) | ||||||||||
2001년 4월 24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Junichiro Koizumi) | 하시모토 류타로 (Ryutaro Hashimoto) | 아소 다로 (Tarō Asō) | (카메이 시즈카 개표 후 사퇴) | 3 | |||||||
298 | 155 | 31 | ||||||||||
2001년 8월 10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Junichiro Koizumi) | 단일 후보 (고이즈미 준이치로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2003년 9월 20일 | 고이즈미 준이치로 (Junichiro Koizumi) | 카메이 시즈카 (Shizuka Kamei) | 후지이 타카오 (Takao Fujii) | 고무라 마사히코 (Masahiko Kōmura) | colspan="5" rowspan="2" | | 0 | ||||||
399 | 139 | 65 | 54 | |||||||||
2006년 9월 20일 (상세) | 아베 신조 (Shinzo Abe) | 아소 다로 (Tarō Asō) | 타니가키 사다카즈 (Sadakazu Tanigaki) | colspan="6" rowspan="2" | | 1 | |||||||
464 | 136 | 102 | ||||||||||
2007년 9월 23일 (상세) | 후쿠다 야스오 (Yasuo Fukuda) | 아소 다로 (Tarō Asō) | colspan="7" rowspan="2" | | 1 | ||||||||
330 | 197 | |||||||||||
2008년 9월 22일 (상세) | 아소 다로 (Tarō Asō) | 요사노 가오루 (Kaoru Yosano) | 고이케 유리코 (Yuriko Koike) | 이시하라 노부테루 (Nobuteru Ishihara) | 이시바 시게루 (Shigeru Ishiba) | colspan="4" rowspan="2" | | 2 | |||||
351 | 66 | 46 | 37 | 25 | ||||||||
2009년 9월 28일 (상세) | 타니가키 사다카즈 (Sadakazu Tanigaki) | 고노 다로 (Taro Kono) | 니시무라 야스토시 (Yasutoshi Nishimura) | colspan="6" rowspan="2" | | 1 | |||||||
300 | 144 | 54 | ||||||||||
2012년 9월 26일 (상세) | 1차 투표 | 이시바 시게루 (Shigeru Ishiba) | 아베 신조 (Shinzo Abe) | 이시하라 노부테루 (Nobuteru Ishihara) | 마치무라 노부타카 (Nobutaka Machimura) | 하야시 요시마사 (Yoshimasa Hayashi) | colspan="4" rowspan="2" | | 1 | ||||
199 | 141 | 96 | 34 | 27 | ||||||||
결선 투표 | 아베 신조 (Shinzo Abe) | 이시바 시게루 (Shigeru Ishiba) | colspan="7" rowspan="2" | | 1 | ||||||||
108 | 89 | |||||||||||
2015년 9월 8일 (상세) | 아베 신조 (Shinzo Abe) | 단일 후보 (아베 신조 임기 만료에 따라 투표 없이 재선) | ||||||||||
2018년 9월 20일 (상세) | 아베 신조 (Shinzo Abe) | 이시바 시게루 (Shigeru Ishiba) | colspan="7" rowspan="2" | | 3 | ||||||||
553 | 254 | |||||||||||
2020년 9월 14일 (상세) | 스가 요시히데 (Yoshihide Suga) | 기시다 후미오 (Fumio Kishida) | 이시바 시게루 (Shigeru Ishiba) | colspan="6" rowspan="2" | | 0 | |||||||
377 | 89 | 68 | ||||||||||
2021년 9월 29일 (상세) | 1차 투표 | 기시다 후미오 (Fumio Kishida) | 고노 다로 (Taro Kono) | 타카이치 사나에 (Sanae Takaichi) | 노다 세이코 (Seiko Noda) | colspan="5" rowspan="2" | | 1 | |||||
256 | 255 | 188 | 63 | |||||||||
결선 투표 | 기시다 후미오 (Fumio Kishida) | 고노 다로 (Taro Kono) | colspan="7" rowspan="2" | | 1 | ||||||||
257 | 170 | |||||||||||
2024년 9월 27일 (상세) | 1차 투표 | 타카이치 사나에 | 이시바 시게루 | 고이즈미 신지로 | 하야시 요시마사 | 고바야시 다카유키 | 모테기 도시미쓰 | 카미카와 요코 | 고노 다로 | 카토 가쓰노부 | 1 | |
181 | 154 | 136 | 65 | 60 | 47 | 40 | 30 | 22 | ||||
결선 투표 | 이시바 시게루 | 타카이치 사나에 | colspan="7" rowspan="2" | | rowspan="2" | | ||||||||
215 | 194 |
자민당 총재의 임기는 당칙 80조 1항에 따라 3년이다.[22] 1974년 이후 전임자의 잔여 임기를 제외하고 연속 2기까지 재임할 수 있었으나,[8] 2017년에 "연속 3기"로 변경되었다.[23] 이는 연속 3선 제한 규정일 뿐, 총재직을 사퇴한 후 다시 출마하는 것은 가능하다.
자유민주당 당칙에 따르면, 총재는 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당을 대표하고 당무를 총괄한다.[9] 총재는 부총재를 당대회 승인에 앞서 지명하고, 총무 25명 중 6명을 지명한다. 총무회 승인을 받아 간사장, 정무조사회장, 선거대책위원장 등 주요 당직자를 임명할 권한을 가진다.[10] 또한, 총무회 심의를 거쳐 고문, 참여, 당우, 찬조원을 위촉하고, 인사위원 중에서 인사위원장을 지명하며, 당기위원 18명 중 6명을 추천한다. 임원연락회 참가자도 지명한다.[9]
25px
3. 임기
자민당 창당 이후 총재 임기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8]기간 임기 재선 규정 1955년 - 1972년 2년 제한 없음 1972년 - 1974년 3년 1974년 - 1978년 연속 2기까지 1978년 - 2003년 2년 2003년 - 2017년 3년[22] 2017년 - 현재 연속 3기까지[23]
1974년 연속 3선을 금지하는 규정 도입 이후, 규정 상한까지 재임하고 임기 만료로 사퇴한 총재는 나카소네 야스히로와 고이즈미 준이치로 두 명이 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86년 중의원과 참의원 동시 선거 압승 등의 이유로 특례에 의해 임기가 1년 연장되어 총 5년의 임기를 수행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특례에 의한 임기 연장 제안을 거부하고 2기 5년(전임 모리 요시로의 잔여 기간 포함 3기 5년 5개월)의 임기를 마쳤다.
아베 신조는 총재 재임 중 규정 개정을 통해 3선 연임에 성공하였으나, 임기 중 병으로 사퇴하였다. 아베 신조는 총재직을 한 번 사퇴한 인물이 다시 총재가 된 유일한 사례이며, 제25대 총재 재임 기간만 연속 2822일(약 8년)로 역대 최장 자민당 총재 및 내각총리대신 기록을 가지고 있다.[25]
4. 권한
총재는 임원회를 소집하고 의장으로서 운영하며, 선거대책본부장과 중앙정치대학원 총장을 겸임한다. 총무회 심의를 거쳐 당대회를 소집하고, 당의 임시 특별기구를 설치하며, 당비 금액을 결정한다.[11][12][13]
5. 역대 총재
1955년 11월 15일 1956년 4월 5일 총재 대행 위원회 결성 및 추대 오노 반보쿠 미키 부키치 오가타 다케토라
(재임 중 사망)1956년 1월 28일 마쓰노 쓰루헤이 1956년 2월 10일 1956년 4월 5일 자유민주당 총재 (1956년~현재) 초대 80px 하토야마 이치로
25px1956년 4월 5일 1956년 12월 14일 1956년: 하토야마 이치로 - 394표
기시 노부스케 - 4표
기타 - 15표2 이시바시 단잔
25px1956년 12월 14일 1957년 3월 21일 1956년 1차: 기시 노부스케 - 223표
이시바시 단잔 - 151표
이시이 미쓰지로 - 137표1956년 결선: 이시바시 단잔 - 258표
기시 노부스케 - 251표3 기시 노부스케
25px1957년 3월 21일 1960년 7월 14일 1957년: 기시 노부스케 - 471표
마쓰무라 겐조 - 2표
기타무라 도쿠타로 - 1표
이시이 미쓰지로 - 1표1959년: 기시 노부스케 - 320표
마쓰무라 겐조 - 166표
기타 - 5표4 이케다 하야토
25px1960년 7월 14일 1964년 12월 1일 1960년 1차: 이케다 하야토 - 246표
이시이 미쓰지로 - 194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49표
기타 - 7표1960년 결선: 이케다 하야토 - 302표
이시이 미쓰지로 - 194표1962년: 이케다 하야토 - 391표
사토 에이사쿠 - 17표
기타 - 20표1964년 7월: 이케다 하야토 - 242표
사토 에이사쿠 - 160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72표
나다오 히로키치 - 1표5 사토 에이사쿠
25px1964년 12월 1일 1972년 7월 5일 1964년 11월: 단독 후보1966년: 사토 에이사쿠 - 289표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 89표
마에오 시게사부로 - 47표
나다오 히로키치 - 11표
노다 우이치 - 9표
기타 - 5표1968년: 사토 에이사쿠 - 249표
미키 다케오 - 107표
마에오 시게사부로 - 95표
기타 - 25표1970년: 사토 에이사쿠 - 353표
미키 다케오 - 111표
기타 - 3표6 다나카 가쿠에이
25px1972년 7월 5일 1974년 12월 4일 1972년: 다나카 가쿠에이 - 282표
후쿠다 다케오 - 180표7 미키 다케오
25px1974년 12월 4일 1976년 12월 23일 1974년: 단독 후보 8 후쿠다 다케오
25px1976년 12월 23일 1978년 12월 1일 1976년: 단독 후보 9 오히라 마사요시
25px
(재임 중 사망)1978년 12월 1일 1980년 6월 12일 1978년 1차: 오히라 마사요시 - 748표
후쿠다 다케오 - 638표
나카소네 야스히로 - 93표
고모토 도시오 - 46표1978년 결선: 단독 후보 (2위 사퇴)– 10
25px || 1980년 7월 15일 || 1982년 11월 25일 || 1980년: 단독 후보11
25px || 1982년 11월 25일 || 1987년 10월 31일 || 1982년 1차: 나카소네 야스히로 - 57.6% (559,673)
고모토 도시오 - 27.2% (265,078)
아베 신타로 - 8.2% (80,443)
나카가와 이치로 - 6.8% (66,041)1982년 결선: 단독 후보 (2위 사퇴)1984년: 단독 후보1986년: 임기 1년 연장12
25px || 1987년 10월 31일 || 1989년 6월 2일 || 1987년: 단독 후보13
25px || 1989년 6월 2일 || 1989년 8월 8일 || 1989년 6월: 단독 후보14
25px || 1989년 8월 8일 || 1991년 10월 30일 || 1989년 8월 1차: 가이후 도시키 - 279표
하야시 요시로 - 120표
이시하라 신타로 - 48표1989년 8월 결선: 단독 후보 (2위 사퇴)15
25px || 1991년 10월 31일 || 1993년 7월 30일 || 1991년: 미야자와 기이치 - 285표
완타나베 미치오 - 120표
미쓰즈카 히로시 - 87표16
와타나베 미치오 - 159표1993년 결선: 단독 후보 (2위 사퇴)17
25px || 1995년 10월 1일 || 1998년 7월 24일 || 1995년: 하시모토 류타로 - 304표
고이즈미 준이치로 - 87표1997년: 단독 후보18
25px || 1998년 7월 24일 || 2000년 4월 5일 || 1998년: 오부치 게이조 - 225표
가지야마 세이로쿠 - 102표
고이즈미 준이치로 - 84표1999년: 오부치 게이조 - 350표
가토 고이치 - 113표
야마사키 다쿠 - 51표19
25px || 2000년 4월 5일 || 2001년 4월 24일 || 2000년: 단독 후보20
25px || 2001년 4월 24일 || 2006년 9월 20일 || 2001년 1차: 고이즈미 준이치로 - 298표
하시모토 류타로 - 155표
아소 다로 - 31표2001년 결선: 단독 후보 (2위 사퇴)2003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 339표
가메이 시즈카 - 139표
후지이 다카오 - 65표
고무라 마사히코 - 54표21
25px || 2006년 9월 20일 || 2007년 9월 23일 || 2006년: 아베 신조 - 464표
아소 다로 - 136표
다니가키 사다카즈 - 102표22
25px || 2007년 9월 23일 || 2008년 9월 22일 || 2007년: 후쿠다 야스오 - 330표
아소 다로 - 197표23
25px || 2008년 9월 22일 || 2009년 9월 16일 || 2008년: 아소 다로 - 351표
요사노 가오루 - 66표
고이케 유리코 - 46표
이시하라 노부테루 - 37표
이시바 시게루 - 25표24
고노 다로 - 144표
니시무라 야스토시 - 54표25
25px || 2012년 9월 26일 || 2020년 9월 14일 || 2012년 1차: 이시바 시게루 - 199표
아베 신조 - 141표
이시하라 노부테루 - 96표
마치무라 노부타카 - 34표
하야시 요시마사 - 27표2012년 결선: 아베 신조 - 108표
이시바 시게루 - 89표2015년: 단독 후보2018년: 아베 신조 - 553표
이시바 시게루 - 254표26
25px || 2020년 9월 14일 || 2021년 9월 29일 || 2020년: 스가 요시히데 - 377표
기시다 후미오 - 89표
이시바 시게루 - 68표27
25px || 2021년 9월 29일 || 2024년 9월 27일 || 2021년 1차: 기시다 후미오 - 256표
고노 다로 - 255표
다카이치 사나에 - 188표
노다 세이코 - 63표2021년 결선: 기시다 후미오 - 257표
고노 다로 - 170표28
25px || 2024년 9월 27일 || || 2024년 1차: 다카이치 사나에 - 181표
이시바 시게루 - 154표
고이즈미 신지로 - 136표
하야시 요시마사 - 65표
고바야시 다카유키 - 60표
모테기 도시미쓰 - 47표
가미카와 요코 - 40표
고노 다로 - 30표
가토 가쓰노부 - 22표2024년 결선: 이시바 시게루 - 215표
다카이치 사나에 - 194표